중단거리 항공기의 고급화 B737 MAX
LCC가 주로 사용하는 항공기인 B737 좌석은 이런 형태야
3X3 배열로 이코노미 좌석만 배열해 놓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지, 점차 소비자들의 눈이 높아지고 중장거리 운항이 확대되면서 중단거리 전용항공기인 737기종의 좌석도 업그레이드 되고 있어
제주항공의 경우 비지니스라이트라는 좌석으로 2개 종류의 좌석이 운영되고 있는데, 점차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돼.
중단거리 노선항공기는 불편하다? No ! 업그레이드 한 B737 MAX 알아보기
차세대 항공기 B737 Max는 어떤 항공기일까?
우선 B737 맥스는 보잉사의 중단거리 항공기의 차세대 항공기라고 말할 수 있어.
국내 항공사들은 대부분 B737-800 NG 기종을 사용하고있고 미국의 사우스웨스트항공이나 유럽의 라이언에어도 B737-800 NG 기종을 사용하고 있지.
차세대 기종이 뭐가 좋아?
차세대 기종은 우선 운항 거리가 더 길어. 운항거리가 더 길다는 것은 더 멀리 갈 수 있다는 말이고, 더 멀리 갈 수 있다는 것은 항공사 입장에서 새로운 노선을 개척하기 좋다는 말이지.
지금 운항하고 있는 B737-800 기종의 경우 인천에서 출발했을때, 최대 6시간 내외의 운항 거리가 5436km 인 반면,
맥스는 7시간~8시간 내외 운항거리 6570km로 갈 수 있는 목적지가 더 많아지는 거야.
거기다가 연료 효율성도 더 좋기에 기름값이 덜 드는 장점도 있지.
위의 이미지를 참고해 보면 승객 189명을 태우고 갈 수 있는 거리가 나와있는데, 기존의 LCC들이 운항하고 있는 기종인 B737-800 기종으로 갈 수 없는 인도, 발리, 말레이시아 랑카위 등 새로운 노선을 취항할 수 있게 되는거지.
새로운 시장은 항공사들에게는 새로운 상품이라고 할 수 있거든.
그럼 무조건 도입하는게 좋은거겠네?
다만 항공기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보통 항공사들은 비용 대비 효용성을 따져 도입 여부를 결정해.
보잉에서 내놓은 List price(소비자가격)은 아래와 같아.
한 대당 1000억이 넘지. 항공사들은 항공기를 구매하는 경우도 있고, 임대하는 경우도 있는데
우리가 집을 살지, 월세를 살지 결정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돼.
새 비행기기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월세가격도 더 비싸다고 할 수 있지.
항공사들 항공기 구매현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 )
이렇게 먼거리를 중단거리 항공기를 이용하면 불편하지 않을까?
10월 8일 아이슬란드 항공은 B737 맥스로 8시간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야.
FL665편은 아이슬란드 캐플 라비크 공항(KEF)에서 오후 4시 50분에 출발해 포틀랜드 국제 공항(PDX)에 오후 5시 50분 도착 (8시간 비행)
FL664편은 포틀랜드 국제공항에 오후 3시 35분에 출발해 캐플 라비크 공항에 새벽 6시 5분 도착(7시 30분) 이야
우리나라에서 B737기종은 LCC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고, 단일 좌석으로 운영하고 있어.
LCC는 최대한의 좌석으로 항공기 가동률을 극대화 해 수익을 확대하는 비즈니스 전략으로 운영되거든.
국내 티웨이항공, 진에어의 B737 기종은 대부분 189석 단일 좌석으로 운영 되고 있지.
제주항공은 B737 기종 중 일부를 2 Class로 나눠 중장거리 노선에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야.
아이슬랜드 항공의 맥스 기종의 좌석은 아래와 같이 사가 프리미엄(16석), 이코노미석 144석으로 운영되고 있어.
중장거리 노선에서 좌석의 편안함은 중요하거든,
거기에 이코노미 좌석에도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지.
우리나라에서도 대한항공 50대 , 제주항공 50대, 티웨이항공 등이 맥스 도입 계획을 밝힌 상태야.
다만 B737 맥스는 18년 라이온에어와 에티오피아 항공의 추락 사고로 인해 운항을 중단했고, 2년간 시스템 보완 각국의 테스트 통과를 거쳐 재 운항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지.
앞으로 우리도 B737 맥스를 탈 수 있을까?
우리나라에서도 내년에는 맥스의 재운항을 볼 가능성이 높아. 이미 주변국가에서 재운항을 허가하고 있고, 유럽과 미국에서는 이미 맥스 항공기가 운영중이거든.
이 항공기 기종 자체가 더 먼 거리를 갈 수 있는 옵션이기에 도입 예정인 LCC들이 항공기 도입시 기존의 단일 클래스를 유지할지, 2개의 클래스를 나눠 유지할지는 한번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에
[앞으로 LCC의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 방향은?]
2021.08.14 - [항공이야기] - LCC 앞으로 이 항공사 처럼 진화 할것
2021.08.07 - [항공이야기] - 새로운 게임체인저 B737 Max 가 온다.
2021.09.09 - [항공이야기] - 하늘위의 호텔 A380이 사라지고 있는 이유
매일 아침(월~금) 항공뉴스를 공유해 드리는 에어톡스 단톡방에 참여해 주세요.
* 에어톡스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irtrends
* 에어톡스 문의 : leverageaero@gmail.com
* 항공뉴스에어톡스 단톡방 (비밀번호 문의 : leverageaero@gmail.com) : https://open.kakao.com/o/gEd0XL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