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이야기

2021년 국적사 월별 공급편, 탑승객 통계 자료

에어톡스 2022. 1. 20. 17:47
반응형

에어톡스 2021년 국적사 월별 운항편수, 공급석, 탑승객, 탑승률 현황 공유드려요. 해당자료는 항공정보포탈의 데이터를 토대로 에어톡스에서 재가공하여 만든 자료예요. 퍼가실 때에는 '에어톡스'출처 밝히시고 퍼가주세요 : )


1. 국적사 월별 운항편수 : 21년 1월 1.5만편에서 12월 2.5편으로 약 월 1만 편 증편 운항 중이예요.

백신 접종률이 높아짐에 따라 각국의 국경 오픈으로 점차 항공사들은 운항 편수를 증가시키고 있어요.

1.1 항공사별 운항편수

대한항공은 21년 총 80391편, 아시아나항공은 51041편, 에어부산은 28778편, 에어서울은 9092편, 제주항공은 39874편, 진에어 39063편, 티웨이항공 31845편, 플라이강원 1299편, 에어로케이 1417편, 에어프레미아는 331편을 운항했어요.


2. 탑승객수

국적사 전체 탑승객 수는 약 3524만명 이예요.

대한항공은 587만명, 아시아나항공 515만명, 에어부산 451만명, 에어서울 170만명, 제주항공 655만명, 진에어 588만명, 티웨이 518만명, 플라이강원 13만명, 에어로케이 13만명, 에어프레미아 8만명 탑승객을 태웠어요.

가장 많은 탑승객을 태운 항공사는 제주항공이예요.

2.1 편당 탑승객 수 : 편당 탑승객 수는 항공사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예요.
대한항공은 편당 73.1명, 아시아나항공은 편당 101명, 에어부산 157명, 에어서울 187명, 제주항공 164명, 진에어 150명, 티웨이항공 162명, 플라이강원 105명, 에어로케이 96명, 에어프레미아 247명으로 나타났어요.
항공사의 좌석은 운항이 시작되면서 가치가 0가 되기 때문에 편당 탑승객을 높이는 것은 항공사에 도움이 되요. 하지만 경쟁으로 많은 탑승객 유치를 위해 티켓 가격을 저렴하게 받으면 많은 탑승객을 태워도 매출에 도움이 되지 않아요

또한 항공사별 기종이나 노선 운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LCC들은 대부분 국내선에 집중했기에 편당 탑승객 수가  FSC에 비해 높은 편이예요. 에어프레미아는 드림라이너 기종으로 운영을 했기에 편당 탑승객 수가 기존 LCC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요.

2.2 탑승률 : 탑승률은 여객수/공급좌석이예요.
대한항공은 평균 60.5%, 아시아나항공은 65%, 에어부산 79.2%, 에어서울 91.7%, 제주항공 88%, 진에어 79.5%. 티웨이항공 87.2%, 플라이강원 56.4%, 에어로케이 53.5%, 에어프레미아 80.9% 를 기록하고 있어요.
국내선 운항에 집중했던 LCC들은 탑승률은 좋은 편이지만 공급 과잉으로 티켓 가격이 낮아져 매출대비 비용이 높아 2021년에 영업적자인 상황이예요.


3. 화물 : 21년 국적사 전체 화물량은 254만톤이고 이중 대한항공 167만톤, 아시아나항공 76만톤이예요. 에어부산은 2.1만톤, 에어서울 5천톤, 제주항공 2.7만톤, 진에어 2.8만톤, 티웨이항공 2.3만톤, 플라이강원 787톤, 에어로케이 768톤, 에어프레미아 350톤 수준이예요.

대한항공은 21년 연간 예상 매출이 8조 8600억, 영업이익 1조 3600억원이예요. 이 수치는 2020년 영업이익 1090억원 대비 1100% 상승한 수치이고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어선 건 2016년 이후 5년 만이예요.

이러한 원인이 바로 '화물'인데요, 기존 여객기 운항시 여객기 아래 벨리카고를 통해 많은 항공사들이 화물을 운항했었으나 여객기들의 운항이 줄고 화물 가격이 치솟았기 때문이예요. 이와 더불어 많은 임직원들이 휴직을 통해 인건비를 절감해 이런 결과가 나왔어요.

3.1 편단 화물 톤수 : 대한항공 20.8톤, 아시아나항공 15톤 이고 나머지 LCC들은 1톤이 채 되지 않아요. 항공기 기종 자체가 작기 때문에 가용 화물이 많지 않고 화물 사업 확장에 제한이 되요.
에어프레미아는 12월 부터 인천-싱가포르 노선을 시작해 호치민까지 화물 운항을 시작했는데요, 12월 편당 화물은 7.4톤 수준으로 타 LCC 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요. 티웨이항공도 A330 기종을 운영하며 화물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고, 플라이강원도  A330 도입하여 화물 확대를 한다고 밝혔어요. 다만 여객이 회복되면 벨리카고 물량이 확대되어 화물 가격이 내려갈 가능성도 있어요.

3.2 화물 전용항공사 에어인천

에어인천은 B737-800 카고 항공기 3대를 운영중이예요. LCC와 동일한 기종이지만 카고 전용 항공기예요.

21년 총 2384편을 운항했고, 26만톤의 화물을 날랐어요. 편당 11톤정도 화물을 싣고 운항했어요. 에어인천에 따르면 21년 매출은 554억원을 기록할 전망이고 흑자가 예상되요.


높은 백신 접종률, 그리고 치료제 조금씩 나아지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많은 항공인 분들이 힘들게 이 시기를 견디고 계신데요, 2022년에는 운항편수 뿐 아니라 탑승객 수치까지 J커브를 그릴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더 많은 분들이 이 자료를 보실 수 있게 공유해 주세요 : )

 

대한항공이 2021년 흑자를 본 이유는?

 

항공사 해고 이유...항공사 인건비 비중은 몇%?

항공산업은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항공기 한대를 띄우려면 기장, 승무원, 공항직원, 협력 조업사, 운항통제, 정비사 등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고정비가 많이 든다. 항공사들의 비용구

airtalks.tistory.com


 

 


* 에어톡스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irtrends

* 에어톡스 문의 : leverageaero@gmail.com

* 항공뉴스에어톡스 단톡방 (비밀번호 문의 : leverageaero@gmail.com) : https://open.kakao.com/o/gEd0XLD

 

카카오톡 오픈채팅

 

open.kaka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