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이후 항공기 수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기로 결정하면서 메가 케리어의 탄생이 예고되어 있어요.
두 항공사가 합병을 하게 되면 대한항공 그룹내에 있는 항공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그리고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까지 총 5개의 항공사가 돼요.
FSC(풀서비스 캐리어)와 LCC(저비용항공사)까지 보유하게 되어 독과점 이슈가 불거지고 있는데요,
공정위는 슬롯 및 운수권 반납이라는 조건을 걸고 승인이 났어요.
오늘은 합병 이후 항공기의 수는 얼마나 될지 말씀드려 볼께요.
(항공기수는 국토부에서 운영하는 항공기 등록정보를 http://atis.koca.go.kr/ 참고했어요)
두 항공사가 합병을 하면 22년 2월 9일 기준 항공기 수는 총 291대가 돼요.
그 중 A320 계열, B737 계열 등 중소형 여객기는 총 102대
A330, 350, 380, B777, 787 등 중대형 여객기는 156대
화물기는 33대가 됩니다.
대한항공은 중소형 여객기 30대, 중대형 항공기 101대를 운영중이예요
화물기는 총 23대 운영중이예요. 코로나 시기에 대한항공의 영업익익에 한 몫을 한 항공기죠.
아시아나항공은 중소형기 21대, 중대형기 51대를 운영중이예요
화물기는 총 10대를 운영중이예요.
대한항공 계열이 되는 LCC인 에어부산은 총 26대의 중소형 항공기를 운영중이예요
진에어는 중소형기 20대, 중대형기 4대 운영중, 에어서울은 중소형기 5대를 운영중이예요.
그렇다면 대한항공 계열이 아닌 항공사들은 항공기를 얼마나 운영 중일까요?
독립형 항공사로 지칭해 볼 수 있을것 같은데요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플라이강원, 이스타항공이예요
총 항공기 수는 73대이고, 중소형 여객기 72대, 중대형 여객기 1대, 화물기 0대 입니다.
개별 항공사 항공기 좌석수와 운영수는 아래와 같아요
국내 항공사들의 항공기 운영 수는 총 364대 그 중 중소형 여객기 174대, 중대형 여객기 157대, 화물기 33대 입니다.
합병항공사의 항공기 보유 비중은 국내 항공사 항공기 운영수 중 79.9% 수준,
독립형 항공사의 항공기 보유비중은 20.1% 예요.
항공기 수가 단순 시장점유율이라고 말할 수 는 없지만 항공기 보유가 많다면
그만큼 공급이 커지기 때문에 시장 점유율을 높아집니다.
그래서 공정위 심사관은 독과점이 예상되어 일부 슬롯(시간당 가능한 비행기 이착륙 횟수)반납,
운수권 재분배 등의 조검을 이행했을 때 승인하겠다는 의견을 낸 바있어요.
또한 독립형 항공사들은 새로운 시장 진입을 위해 노력중이예요
티웨이항공은 A330 중형기를 도입하여 싱가포르, 호주, 유럽, 미주 취항 계획을 밝혔구요,
에어프레미아도 항공기 도입을 통해 노선 확대를 할 계획이예요
제주항공은 B737카고 전용항공기를 도입해 화물영업을 강화할 예정이예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 한번씩 눌러주세요 : )
[같이 읽으면 좋은글]
2022.01.25 - [항공이야기] - 티웨이항공의 A330-300의 실내 인테리어 모습
2021.11.05 - [항공이야기] - 젯블루의 민트 스위트 A321-NEO 항공기(Jet Blue Mint Suite )
매일 아침(월~금) 항공뉴스를 공유해 드리는 에어톡스 단톡방에 참여해 주세요.
* 에어톡스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irtrends
* 에어톡스 문의 : leverageaero@gmail.com
* 항공뉴스에어톡스 단톡방 (비밀번호 문의 : leverageaero@gmail.com) : https://open.kakao.com/o/gEd0XL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