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마케팅 필수 용어
디지털 마케팅을 공부하다보면 CTA가 어떻고 CPM이 어떻고 다양한 단어를 듣게 된다.
이런 단어는 무슨뜻일까? 이 포스팅을 읽으면 기본 용어는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디지털 마케팅 용어
1. CTA (Call to action) : 사전적 의미로 액션을 일으키는 광고다. 다운로드 링크, 앱 다운받기, 페이스북 페이지 좋아요 등 유저가 광고를 보고 어떤 액션을 취하게 만들어 놓는 것을 이야기한다.
2. CPM(Cost per mile) : 광고를 1천회 노출 했을 때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한 것이다. CPM이 1000원이다 라고 가정하면 1000명에게 노출 시 1000원을 지출한다. 대략 1명당 1원
-> 만약 이 페이지에 1만명이 들어오고 CPM이 1천원이라하면 대략 1만원의 광고비를 얻을 수 있다.
3. CPC(Cost per click) : 클릭당 비용이다. 광고를 보는 유저가 해당 광고를 클릭시 과금대는 방식이다. 네이버 키워드 광고,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등 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블로그 운영이나 유튜브 운영자들은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광고를 클릭해 주기를 원한다.
4. CPA(Cost per action) : 광고가 원하는 특정 액션을 했을 때 과금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광고가 광고 단가가 높은 편이다. 보험료 상담을 남기거나, 다이어트 상담을 남기기, 회원가입, 앱 다운받기 등이 있다.
5. CPI(Cost per install) : 모바일이 활성화 되면서 생겨난 방식이다. 인스톨 마다 과금하는 방식이다. 게임이나 신규 앱 런칭시 많이 활용한다.
6. CPV(Cost per view) : 유저가 광고를 본 만큼, 재상 당 비용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유튜브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식이다.
7. CTR(Click through rate) : 광고를 본 사람 중 클릭한 수가 얼마나 많은지 보여주는 비율을 말한다. 클릭률이 높으면 광고 자체가 올바른 대상에게 노출 되었거나, 광고자체가 매우 매력적이라 판단 될 수 있다.
다음은 앱이나 웹페이지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1.DAU(Daily active user) : 일 활성 이용자
-> 매일 평균적으로 이용하는 유저를 말한다. 보통 앱이나 홈페이지 회원가입이나 다운받고 있더라로 사용하지 않는 유저는 제외한다.
2.MAU(Monthly active user) : 월 활성 이용자
-> 매월 평균적으로 이용하는 유저를 말한다. 보통 앱이나 홈페이지 회원가입이나 다운받고 있더라로 사용하지 않는 유저는 제외한다.
3.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 검색엔진 최적화를 말한다. 구글, 네이버에서 검색했을 경우 유저에게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 최적화 기법을 말한다. 블로그의경우 구글 서치콘솔 등을 통해 등록을 하면 검색을 최적화 할 수 있다.
4. ROI(Return of investment) = (영업이익/총비용)*100
투자대비 수익률을 이야기한다. 예를들어 광고비 100만원을 들이고 영업이익을 1000만원을 벌어들였다면, (1000/100)*100으로 ROI 1000% 이다.
5. ROAS(Return on ads spending) = (매출/비용)*100
광고비용 대비 매출로 효율 측정의 도구로 많이 사용된다. 보통 키워드 광고를 투입했을 때, 만원을 투입해서 10만원의 매출을 벌었으면 ROAS는 1000%이다.
광고의 종류
DA(Display advertising : 디스플레이광고) : 포털사이트 메인화면이나 뉴스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뉴스나 여러사이트 블로그에 떠있는 구글 애드센스 광고도 DA광고의 일종이다.
SA(Search advertising : 검색광고) : 검색 후 보여지는 광고를 말한다. 보통 키워드 광고를 하는데, 과금 형태는 CPC형태다. 광고주들은 여러 키워드를 광고하고 해당 키워드가 검색 이후 상위에 노출되는 식이다. 블로그들은 상위 키워드를 잡기위해 많이 노력한다.
TA(Targeting advertising : 타깃광고) : 특정지역, 성별, 나이, 관심사 등에게 노출되는 광고다. 구글이나 페이스북 광고 관리자를 통해 광고 타깃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서울에 있는 20대 여성 타깃이라면 페이스북은 이미 해당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에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를 하는 방식이다.
RA(Retargeting advertising : 리타깃광고) : 내가 기존에 방문했던 사이트의 정보를 통해 광고를 하는 방식이다. 우리가 웹에 접속을 하게되면 우리는 쿠키라는 값이 묻는다. 해당 쿠키를 통해 우리는 그 웹에 접속했다라는 것을 광고주는 알게되고 광고 툴을 통해 광고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나이키 신발을 검색하고 나서 해당 나이키 신발이 내가 가는 웹사이트에 따라오는 것을 말한다.
단군이래 돈 벌기 가장 쉬운 시대라고 하는데, 그 말은 바로 디지털활동을 통해 수익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아주 기본적인 용어인 디지털 광고 용어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지식이다.
'마케팅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모르면 뒤쳐지는 최신 AI 도구와 활용법 (0) | 2025.01.08 |
---|---|
티스토리 구글 검색 최적화 SEO 방법 총 정리 (0) | 2020.04.03 |
이북리더기 오닉스 노바프로(Onyx nova pro) 구매 이유 (1) | 2020.03.25 |
저작권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PPT,카드뉴스,블로그 활용) (0) | 2020.03.2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2025년, 모르면 뒤쳐지는 최신 AI 도구와 활용법
2025년, 모르면 뒤쳐지는 최신 AI 도구와 활용법
2025.01.08 -
티스토리 구글 검색 최적화 SEO 방법 총 정리
티스토리 구글 검색 최적화 SEO 방법 총 정리
2020.04.03 -
이북리더기 오닉스 노바프로(Onyx nova pro) 구매 이유
이북리더기 오닉스 노바프로(Onyx nova pro) 구매 이유
2020.03.25 -
저작권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PPT,카드뉴스,블로그 활용)
저작권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PPT,카드뉴스,블로그 활용)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