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이야기
FSC vs LCC: 항공사는 어디에 돈을 쓰고, 어디서 돈을 벌까?
FSC vs LCC: 항공사는 어디에 돈을 쓰고, 어디서 돈을 벌까?
2025.03.23항공권 가격이 천차만별인 이유, 궁금하신 적 있나요? 같은 목적지라도 어떤 항공사는 수십만 원 더 비싸고, 어떤 항공사는 놀라울 정도로 저렴하죠. ]그 차이는 바로 항공사의 운영 방식에서 비롯됩니다.항공사는 크게 FSC(Full-Service Carrier, 대형항공사)와 LCC(Low-Cost Carrier, 저비용항공사)로 나뉘며, 두 모델은 비용 구조와 수익 전략이 완전히 다릅니다. 그렇다면 항공사들은 어디에 돈을 쓰고, 어디에서 수익을 낼까요? ✈️💰항공사의 비용 구조: FSC vs LCC항공사의 비용은 고정 비용(Fixed Costs)과 변동 비용(Variable Costs)으로 나뉩니다. 1️⃣ 고정 비용 (Fixed Costs)고정 비용은 항공사가 항공편을 운영하지 않더라도 계속 지출되..
티웨이항공 인수 완료한 대명소노, 에어프레미아까지? 국내 항공업계 지각변동 예고
티웨이항공 인수 완료한 대명소노, 에어프레미아까지? 국내 항공업계 지각변동 예고
2025.02.27최근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인수를 마무리하면서 국내 항공업계에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기존 저비용항공사(LCC) 중심의 사업을 확장해 대형항공사(FSC)로 도약을 꿈꾸는 대명소노그룹이 에어프레미아 인수까지 성공한다면 국내 항공 시장의 판도는 더욱 달라질 전망입니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 최대주주 등극대명소노그룹은 지난 26일 예림당이 보유한 티웨이홀딩스 지분 46.26%를 2,500억 원에 인수하며 티웨이항공의 최대주주가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대명소노는 기존 보유 지분과 합쳐 티웨이항공 지분 54.79%를 확보하며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가져가게 되었습니다. 서준혁 대명소노 회장은 “항공산업은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어야하는 산업군으로서,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항공사로 거듭날 것을 약속..
파라타항공, 하이브리드 항공사(HSC) 전략이 성공할까?
파라타항공, 하이브리드 항공사(HSC) 전략이 성공할까?
2025.02.16파라타항공은은 대형항공기와 소형항공기를 함께 운영하는 하이브리드 항공사로 재탄생시켜 LCC 시장에서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력 확보 전략을 세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신규 항공기 순차 도입, 취항 노선 확장 등 구체적인 강화 방안을 추진하고, 도민의 이동권 보장과 김포·인천 등 허브공항 확대를 통해 국토 균형 발전에 적극 공헌할 계획이다.최근 뉴스를 보면 항공기의 기재 운영은 A330-200(294석) 2대, A320(180석) 3대를 할 예정으로 운항 목표 노선은 캐나다 벤쿠버, LA, 다낭, 일본이다.파라타항공이 도입하려는 A330-200 기종의 외관 모습입니다. 좌석수가 294석인 경우 프리미엄 이코노미 49석(피치 49인치), 이코노미 좌석 245석(피치 33인치)로 쾌적한 기내 환경을 제공할 것..
(최신판)국내 항공사들 항공기 보유현황-25년 2월(기준)
(최신판)국내 항공사들 항공기 보유현황-25년 2월(기준)
2024.06.03국내 항공사들은 몇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을까?대한항공은 24종류 항공기를 총 170대 운영중이다. 가장 많은 항공기는 B777-300ER 기종과 A330-300 기종으로벨리 카고 운영이 가능한 와이드 바디 항공기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총 11종류의 항공기를 총 80대 운영중이다.가장 많은 항공기는 A350-900, A330-300 기종으로 와이드 바디 항공기이다. 이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는 합병승인이 완료되었고, 합병 절차중으로 두 회사의 항공기를 합치면 250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대한항공 그룹 LCC 인 에어부산, 진에어, 에어서울 항공기이다.대한항공 계열이 될 LCC의 항공기는 총 58대 항공기를 운영중이다.에어부산은 총 3개 종류 항공기 21대를 운영중이고,에어버스의 A321 기종을 운영..
인수 확정 플라이강원 위닉스와 함께 다시 하늘 날 수 있을까?
인수 확정 플라이강원 위닉스와 함께 다시 하늘 날 수 있을까?
2024.06.03양양국제공항을 모(母)기지로 삼은 저비용항공사(LCC) 플라이강원이 생활가전 제품 등을 생산·판매하는 '위닉스' 품에 안깁니다. 코로나19 악재로 인한 경영난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5월 기업회생을 신청한 지 1년 만이다. 위닉스는 이달 중 채권단과 주주 등 관계인 집회를 열어 인수·합병(M&A) 회생계획안을 가결하고, 회생법원의 회생계획안 인가 절차를 거쳐 플라이강원 인수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으며, 인수 완료 시점은 이르면 7월 초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위닉스는 대형항공기와 소형항공기를 함께 운영하는 하이브리드 항공사로 재탄생시켜 LCC 시장에서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력 확보 전략을 세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재운항 전까지 사명 변경, 신규 항공기 순차 도입, 취항 노선 확장 등 구체적인 ..
이게 이코노미 좌석? 최고급 이코노미좌석
이게 이코노미 좌석? 최고급 이코노미좌석
2022.08.21코로나로 인해 전 세계 항공시장이 굉장히 힘든 상황인건 다들 알고 계시죠? 이런 상황에서 점점 늘어나는 좌석이 있는데요, 바로 프리미엄 이코노미 좌석입니다. 수요의 회복이 빠르지 않은 상황에서 더욱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좌석으로 많은 항공사들이 선호하고 있고 속속들이 도입하고 있습니다. 국적사들 중 코로나 이전에는 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만 비즈니스 좌석을 운영했었는데요, 최근에는 LCC 중에서도 제주항공은 비즈니스 라이트, 티웨이항공은 비즈니스 좌석을 운영하고 있고, 중장거리 전용 항공사인 에어프레미아는 프리미엄 이코노미 좌석을 운영중이예요. 오늘은 중동의 에미레이트 항공이 프리미엄 이코노미 좌석을 공개했는데요, 럭셔리 그 자체 입니다. 에미레이트항공은 아랍에미레이트 국적의 1985년 3월에..
국적사 1~7월까지 누적 성적표 꼴등은?
국적사 1~7월까지 누적 성적표 꼴등은?
2022.08.20국내 항공사들의 2022년 1월~7월까지의 성적표는 어떨까요? 해당 자료는 에어포탈 통계자료를 근거로 작성되었어요. 국제선 기준 공급석 1위는 역시 대한항공이예요, 총 268만좌석을 공급했어요. 2위는 아시아나항공 186.7만석 3위는 진에어 26.3만석 4위는 제주하공 25.3만석 순이예요 운항편수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순인데 제주항공이 항공편은 진에어보다 더 많이 운항했어요, 진에어는 777 대형기가 있어 이런 수치가 나온거예요. 여객수는 공급석 기준과 동일하게 대한항공, 아시아나, 진에어, 제주항공 순입니다. 국제선의 탑승률은 대부분 60~70% 수준으로 높지 않은 상황이예요, 올해 2분기부터 점차 국제선이 회복되고 있으니 올해 하반기 통계는 분명 더 나아질 것이라 생각되요. 다만 아직 국내 입..
말레이시아항공 승무원 최신 기내 영상
말레이시아항공 승무원 최신 기내 영상
2022.06.24기내에서 안전을 위해 반드시 전달해야 하는 정보가 바로 세이프티 데모인데요, 많은 항공사들이 이런 정보를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만들고 있어요, 최근 말레이시아 항공에서 만든 뮤지컬형 세이프티 비디오를 공유드려요, [말레이시아 항공의 세이프티 비디오] 최초의 뮤지컬 버젼은 버진 아메리카 항공의 세이프티 비디오죠, 참으로 버진 아메리카는 멋진 브랜드였는데 알레스카항공과 2018년 합병하면서 역사속으로 사라졌습니다. [버진 아메리카의 세이프티 비디오] 그럼 우리나라 대표항공사인 대한항공의 영상은 어떨까요? [대한항공의 세이프티 비디오] * 에어톡스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irtrends * 에어톡스 문의 : leverageaero@gmail.com * 항공뉴스에어..
국내 항공사 포스트코로나 차세대 항공기 비교
국내 항공사 포스트코로나 차세대 항공기 비교
2022.06.12긴 코로나 시기가 지나고 점차 여객이 회복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국내 항공사들도 각 국가의 국경이 점차 개방됨에 따라 국제선 여객 운항을 재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늘은 국내 항공사들의 차세대 항공기에 대해 소개해 볼께요 항공사들은 왜?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할까? 항공사들의 비즈니스는 고객을 A지점에서 B지점까지 이동시키는 서비스업이라고 볼 수 있어요. 차세대 항공기는 기존항공기보다 더 쾌적한 기내, 더 나은 연료 효율, 더 긴 운항거리를 통해, 고객에게는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운영적으로 비용을 줄이고 더 긴 운항거리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발 할 수 있어요. 중단거리 차세대 항공기는? 중단거리 차세대 항공기는 Boeing의 737 맥스항공기와 에어버스의 A320-Neo 예요. 국내 항공사중 제주항..
[아시아나항공] 탑승객을 찾습니다
[아시아나항공] 탑승객을 찾습니다
2022.04.15이제 진짜 시작이예요! 많이 기다렸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의 "여행이 떠났다" 광고의 후속편 "탑승객을 찾습니다." 항공업계 여러분들 그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 에어톡스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irtrends * 에어톡스 문의 : leverageaero@gmail.com * 항공뉴스에어톡스 단톡방 (비밀번호 문의 : leverageaero@gmail.com) https://open.kakao.com/o/gEd0XLDc
대한항공, 제주항공이 진출한다는 UAM이 뭐지?
대한항공, 제주항공이 진출한다는 UAM이 뭐지?
2022.02.16최근 UAM이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들린다. UAM은 Urban Air Mobility로 도심 항공교통의 약자다. 도심 내에서 수직 이착륙기를 활용해 운송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기존의 도로라는 한계가 있는 도심 교통 체계를 하늘로 확장해 3차원까지 확장해 더욱 빠르게 이동의 가치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우리나라에서도 2025년에는 UAM이 상용화, 2035년에는 비즈니스의 성숙화가 이루어 질것이라고 정부는 K-UAM로드맵을 밝힌바 있다. 미국의 모건 스탠리는 2040년 UAM 시장이 1조 5000억달러(약 1795조원)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만큼 기업 입장에서는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시장이라는 것이다. 이에 많은 기업들이 뛰어들고 있다. 국내에서도 현대자동차, 한화, SK, ..
싱가포르항공의 B737-800 비즈니스 클라쓰
싱가포르항공의 B737-800 비즈니스 클라쓰
2022.02.13B737-800 항공기는 국내 LCC들이 운영하는 항공기 입니다.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이 운영 중이죠. 전 세계적으로도 중단거리 시장에서는 가장 독보적인 모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항공사들의 비즈니스 전략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 옵션을 다르게 만들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아시아 고품격 항공사인 싱가포르 항공의 B737-800항공기 를 소개해 드릴께요. 싱가포르항공은 21년 초에 합병한 실크에어의 항공기의 기내 인테리어와 도장을 변경하여 싱가포르 항공 B737-800 기종의 모습을 선보였어요. 싱가포르항공의 B737-800 항공기의 좌석 배치는 총 좌석은 비즈니스석 12석, 이코노미석 150석으로 162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제주항공도 동일 기종에 프리미엄 이코노미좌석과 이코노미 좌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