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항공사가 항공기를 빌려쓴다고?
항공사가 항공기를 빌려쓴다고?
2016.12.03[출처 : Boeing.com] 실제 항공기 1대 가격은 아래 표시된 금액과 같이 표와 같이 보잉 상용 항공기 기준 1대 공시 가격이 8000만달러~ 4억달러 한다.8000만달러이면 감이 안올텐데 약 938억원 정도 하고 4억달러는 약 4692억원 이다.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이 많이 운영하고 있는 B737-800의 경우 약 9600만 달러로 약 1126억원 정도에 판매되고 있다. 물론 이는 공시된 가격으로 여러대를 구매하거나 다른 딜을 할 경우 가격이 할인 될 수 있다. 그럼 항공사들은 이러한 항공기를 어떻게 구매하여 운영할까? https://leverageaero.tistory.com/13 앞서 표에서 본 바와 같이 항공기 1대 가격은 최소 1000억원 정도를 호가한다. 예를들어 25대의 항공기를 운영하고..
저비용항공사(LCC)의 경쟁력은 쿠팡의 로켓 배송이다?
저비용항공사(LCC)의 경쟁력은 쿠팡의 로켓 배송이다?
2016.11.18[출처 : 구글 이미지] 경쟁력이란? Different (다름) & Better(더 나은) 이러한 것을 기준하는 것을 바로 K.B.F(Key buying factor)라 한다. 소비자가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는 요소를 말한다. 예를들어 내가 여행을 간다고 가정했을때,유럽을 갈것인가, 아니면 가까운 일본을 갈것인가, 제주도를 갈것인가 목적지를 결정하게 된다. 목적지를 결정하는 순간부터 유럽을 선택한 경우에는 어느 항공사를 이용할 것이가 고민하게 되는데, 그 고민하는 시점에 소비자가 선택을 고려하게 되는 요인들이 바로 K.B.F 이다. 그럼 실제 현재 많이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LCC시장에서의 K.B.F는 무엇일까? LCC라 하면 소비자에게 인식 되는 것은 바로 저비용 항공사 이다. ..
항공기 한대 가격과 사용 기간은?
항공기 한대 가격과 사용 기간은?
2016.11.17[출처 : 보잉 737 Next generation 기종] 최근에 자동차 10년 타기 운동이 있을 만큼, 많은 사람들이 차를 금방금방 바꾸고 있습니다. 그럼 항공기는 얼마나 탈 수 있을까요? (보잉 시리즈 항공기 가격 : http://www.boeing.com/ ) 국내 저비용 항공사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B737-800 기종의 한대 가격은 9600만 달러로 한화로 약 1127억원 정도 합니다. 이런 항공기를 10년만 탄다? 항공기의 수명은 정기적인 부품 교환과 지속적인 점검만 이루어 진다면, 상상 이상으로 오래 운영이 가능합니다. 실제 국내에서 저비용항공사에서 운영되고 있는 항공기 기령을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6.11.17 일 기준 항공안전관리 시스템 참조 : http://atis.cas..
하드랜딩 vs 소프트 랜딩 뭐가 좋을까요?
하드랜딩 vs 소프트 랜딩 뭐가 좋을까요?
2016.11.14이착륙 하다보면, 가끔은 아주 부드럽게 착륙할때가 있고, 어떤 때에는 쿵! 하고 큰 충격이 올때가 있습니다. 부드럽게 착륙하는 것을 소프트 랜딩(Soft landing), 그리고 조금 강하게 쿵! 하고 느낄정도의 랜딩을 펌랜딩(Firm landig)이라 부릅니다. 부드럽게 내릴때에는 대부분의 고객들이 좋아합니다. 하지만 쿵! 하고 내릴때는 대부분의 고객분들이 "이 조종사 초보 아니야?"" 은퇴한 기장 분들이 조종을 해서 이런거 아니야?""에이 저비용항공사라서 그러네"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사실은 다릅니다. 착륙은 조종사의 실력보다 조종사의 판단에 의해서 이루어 지는것입니다. 항공기가 착륙할때 활주로의 노면 상태 및 기상 상황은 매번 변화하죠, [측풍으로 인한 하드 랜딩 영상] 특히 국내 공항 중..
(디아이싱- De-icing)군인만큼 눈을 싫어하는 비행기 왜?
(디아이싱- De-icing)군인만큼 눈을 싫어하는 비행기 왜?
2016.11.09[고요하고 아름다운 눈온 풍경 그러나 군인들은 너무 싫어하죠?] 날씨가 많이 쌀쌀해 졌습니다. 곧 눈이 펑펑 내리는 시기가 올텐데요,눈이 오면 항공기는 지연할 가능성이 많아진답니다. 미끄러워서 일까요? 물론 많은 눈이 오면 제설차를 통해 공항 활주로 제설 작업을 실시해야하지만또다른 문제는 항공기 위에 쌓인 눈입니다. 왜 그럴까요? [출처 :푸른거탑] 눈이 내리면 많은 분들이 설레여 합니다. 하지만 항공기에게는 눈이 반가운 존재는 아니랍니다.[출처 : 구글 이미지]항공기는 양 날개에 양력을 받아 이륙을 합니다. 양력은 바로 항공기를 아래서 밀어 올리는 힘을 말합니다. 이 힘은 날개의 옆면의 굴곡에 의해서 만들어집니다.그림을 보면 윗면과 아랫면의 길이가 다릅니다. 항공기가 이륙하게 되면, 윗면과 아랫면을 지..
"마케팅은 가격과 품질의 전쟁" 과연 저비용항공사의 무기는?
"마케팅은 가격과 품질의 전쟁" 과연 저비용항공사의 무기는?
2016.11.07[공대생 양군의 마케팅 공부 입니당^^] 가격은 마케팅 4P(Product, Price, Place, Promotion)중 판매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직접적인 투자 없이 빠르게 효과를 볼 수 있는 수단이다. 가격 탄력성이 광고의 탄력성보다 20배정도 크다 가격은 특별한 투자 없이 빨리 변화 시킬 수 있다. 회사는 고객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돈을 받는다. 이 교환의 관계에서 마케팅이 발생한다.회사의 입장에서 가치는 아래 그림과 같이 상품의 품질을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품질을 높이고 비용을 줄여 가격을 낮추면 그만큼 고객에게 제공되는 가치가 상승한다.반면 품질을 낮추면, 낮춘 이상 만큼 가격이 하락해야 가치가 상승할 수 있다. 가치가 상승하면 고객은 그 상품의 매력도는 높아질 것이고,그만큼..
등받이에 따라 등급이 나뉜다? 프리미엄 항공사 좌석 구분
등받이에 따라 등급이 나뉜다? 프리미엄 항공사 좌석 구분
2016.11.072016/11/06 - [항공마케팅영상] - 버진 아메리카의 세이프티 비디오 2016/11/06 - [재미있는항공이야기] - 왜 항공사에는 여자 승무원들이 많을까? 2016/11/06 - [항공상식] - 저비용 항공사? 저가항공사가 뭐지? 2016/11/04 - [항공상식] - 스킨스쿠버 하셨어요? 고객님 죄송하지만 탑승하실 수 없습니다 2016/11/04 - [항공상식] - 비행중 항공기의 문은 열수 있을까요? 2016/11/04 - [항공상식] - 다른 항공사 끼리 좌석을 공유 한다구요?(코드쉐어)
왜 항공사에는 여자 승무원들이 많을까?
왜 항공사에는 여자 승무원들이 많을까?
2016.11.06[The First Pan American Steward] 항공기 객실에 탑승하는 승무원이 대부분 남자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스튜어디스(Stewardess)’가 아닌 ‘스튜어드(Steward)’였습니다. 항공시장의 초창기라 위험성도 있었고, 서양문화에서 고급서비스 업무는 주로 남성이 맡아온 전통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1930년 5월, 미국에서 처음으로 여자 승무원이 탄생했습니다. 간호사 자격을 가지고 있던, E.처치는 “여자가 기내에서 일을 하면 남자들도 항공기 타는 것을 무서워 하지 않을 것이라며, 경영진을 설득, 세계 최초의 여자 객실승무원이 되었으며, 오클랜드를 이륙한 비행기에 승객 8명과 첫 근무를 했다고 전해집니다. 그 후 객실승무원들의 자격 요건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