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웨이항공 인수 완료한 대명소노, 에어프레미아까지? 국내 항공업계 지각변동 예고
최근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인수를 마무리하면서 국내 항공업계에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기존 저비용항공사(LCC) 중심의 사업을 확장해 대형항공사(FSC)로 도약을 꿈꾸는 대명소노그룹이 에어프레미아 인수까지 성공한다면 국내 항공 시장의 판도는 더욱 달라질 전망입니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 최대주주 등극
대명소노그룹은 지난 26일 예림당이 보유한 티웨이홀딩스 지분 46.26%를 2,500억 원에 인수하며 티웨이항공의 최대주주가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대명소노는 기존 보유 지분과 합쳐 티웨이항공 지분 54.79%를 확보하며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가져가게 되었습니다.
서준혁 대명소노 회장은 “항공산업은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어야하는 산업군으로서,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항공사로 거듭날 것을 약속 드린다”라며 “또한 안정적인 경영과 고객, 임직원 모두를 만족시키는 글로벌 항공사로 도약하겠다”라고 전했다.
레저-항공 시너지 극대화
대명소노그룹은 국내 최대 호텔·리조트 기업으로, 현재 20개 이상의 호텔 및 리조트를 운영 중입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항공과 레저 사업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펼칠 예정입니다. 특히 해외 인프라(미국, 프랑스, 하와이 등)를 활용해 여행 상품을 기획하고, 프로모션 및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대명소노, 에어프레미아 인수 가능성은?
현재 대명소노그룹은 에어프레미아 지분 11%를 보유하고 있으며, 오는 6월 추가적으로 11%를 확보할 수 있는 콜옵션을 갖고 있습니다. 이를 행사할 경우 22%의 지분을 확보하며 2대 주주로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AP홀딩스와의 지분 경쟁
에어프레미아의 최대주주는 AP홀딩스(46%)이며, AP홀딩스는 오는 5월 JC에비에이션이 보유한 11%의 지분을 우선적으로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AP홀딩스가 해당 지분을 확보하면 최대주주 자리를 굳힐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드래그얼롱(동반매도청구권)이 발동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드래그얼롱이 발동되면 대명소노그룹과 AP홀딩스,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지분이 한꺼번에 공개 매각 대상이 되며, 결국 가장 강한 자본력을 가진 대명소노그룹이 최종 인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LCC에서 FSC로 도약, 항공업계 패러다임 변화
티웨이항공은 기존 LCC와 달리 중장거리 노선을 확보하고 있어 FSC로의 전환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항공으로부터 유럽 노선을 인수하며 중·장거리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으며, 여기에 미주 중심의 에어프레미아까지 인수할 경우 FSC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명소노는 티웨이항공 인수를 통해 △항공 안전 및 정비 역량 강화 △전문 인력 확대 △수익성 증대 △대형 항공사 얼라이언스 가입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LCC의 한계를 극복하고 FSC로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명소노의 항공업 진출, 성공할 수 있을까?
대명소노그룹은 강력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항공업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의 강점을 살려 새로운 형태의 항공사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국제 안전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며 조종사, 승무원, 정비 인력의 역량 강화를 추진하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인수를 통해 항공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보이며, 향후 에어프레미아 인수 여부가 항공 시장의 변화를 가를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대명소노그룹의 행보가 국내 항공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FSC로의 도약이 성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2025.02.16 - [항공이야기] - 파라타항공, 하이브리드 항공사(HSC) 전략이 성공할까?
파라타항공, 하이브리드 항공사(HSC) 전략이 성공할까?
파라타항공은은 대형항공기와 소형항공기를 함께 운영하는 하이브리드 항공사로 재탄생시켜 LCC 시장에서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력 확보 전략을 세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신규 항공기 순차
airtalks.tistory.com
2024.06.03 - [항공이야기] - (최신판)국내 항공사들 항공기 보유현황-25년 2월(기준)
(최신판)국내 항공사들 항공기 보유현황-25년 2월(기준)
국내 항공사들은 몇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을까?대한항공은 24종류 항공기를 총 170대 운영중이다. 가장 많은 항공기는 B777-300ER 기종과 A330-300 기종으로벨리 카고 운영이 가능한 와이드 바디
airtalks.tistory.com
'항공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SC vs LCC: 항공사는 어디에 돈을 쓰고, 어디서 돈을 벌까? (0) | 2025.03.23 |
---|---|
파라타항공, 하이브리드 항공사(HSC) 전략이 성공할까? (0) | 2025.02.16 |
(최신판)국내 항공사들 항공기 보유현황-25년 2월(기준) (1) | 2024.06.03 |
인수 확정 플라이강원 위닉스와 함께 다시 하늘 날 수 있을까? (2) | 2024.06.03 |
이게 이코노미 좌석? 최고급 이코노미좌석 (0) | 2022.08.21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FSC vs LCC: 항공사는 어디에 돈을 쓰고, 어디서 돈을 벌까?
FSC vs LCC: 항공사는 어디에 돈을 쓰고, 어디서 돈을 벌까?
2025.03.23 -
파라타항공, 하이브리드 항공사(HSC) 전략이 성공할까?
파라타항공, 하이브리드 항공사(HSC) 전략이 성공할까?
2025.02.16 -
(최신판)국내 항공사들 항공기 보유현황-25년 2월(기준)
(최신판)국내 항공사들 항공기 보유현황-25년 2월(기준)
2024.06.03 -
인수 확정 플라이강원 위닉스와 함께 다시 하늘 날 수 있을까?
인수 확정 플라이강원 위닉스와 함께 다시 하늘 날 수 있을까?
2024.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