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항공 구조조정을 보며 느낀 점
항공사명 : 이스타항공 (Eastar Jet) IATA 코드 : ZE IACO 코드 : ESR
창립년도 : 2007년 / 운항 개시 : 2009년 1월 / 제주항공에 인수 예정 : 2020년 4월 말 예정

국민항공사 이스타항공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 최고를 향해 항공여행 대중화를 창조하겠습니다.
이스타항공은 2009년부터 취항을 시작해 국내선 뿐 아니라 일본, 홍콩, 마카오, 방콕, 중국 등 다양한 국제선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기준 항공기는 23대, 임직원 수는 1680명이다.
과거 이스타항공은 1만원 항공권을 판매하며 특가 이벤트로 사랑을 받기도 했고,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 장미란 선수를 후원하기도 했다.

다만 금일 보도자료에 이번 코로나-19사태 등 시장상황의 악화로 항공기 10대 반납, 임직원 750명 구조조정안을 밝혔다. 전체 임직원의 약 45%가 구조조정 당하는 것이다. 향후 이 구조조정안이 시행되면, 보유항공기는 13대, 임직원 수는 약 930여명이 된다. 현 제주항공이 항공기 45대 임직원수가 3300여명 이기에 인수가 마무리 되면, 제주항공은 보유항공기 58대 임직원 약 4200여명 수준의 항공사로 재 탄생하게 된다.
이스타항공은 어쩌다 이런 상황을 맞이 했을까?

이스타항공은 18년 연말 국내 최초로 도입한 B737-8Max로 새로운 시작을 알렸었다. 하지만 346명이 사망한 두 건의 사고로 인해 맥스 운항이 중단됐다. 실제 도입 당시 굉장한 스포트 라이트를 받았고, 도입 행사도 호텔을 빌려 크게 진행했다. 하지만 2대의 맥스는 돈을 벌지 못하고 리스료만 내야하는 골치덩이 항공기가 되어버렸다.

2019년에는 일본 불매운동이 벌어졌다. 이 당시 국내 대부분 항공사는 큰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LCC업계는 대부분 적자로 2019년 매출을 마감했다. 이스타항공 또한 일본 매출이 약 35% 수준으로 적지않은 타격을 받았다. 공시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의 2018년 자본총계는 252억 8613만 원, 부채총계는 1224억 9351만 원으로 부채비율은 484.4%에 달했다. 2019년은 더욱 악화 되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그리고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는 소문이 나왔고 19년 12월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의 경영권을 인수하겠다는 깜짝 발표를 했다.
이스타항공은 이상직회장 일가의 소유다.

이상직회장은 이스타항공을 창립했으며 이후 19대 국회의원,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 곧 있을 21대 국회의원에 출마했다. 이스타항공의 최대 주주는 이스타홀딩스이고 이스타홀딩스는 이상직 회장의 자녀인 이원준, 이수지씨가 100% 소유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의 지분 51.17%를 인수할 예정이다. 당시 이스타항공 대표는 "경영상황이 악화되 시너지를 내기 위해 이번 매각작업이 이루어 졌으며, 각각 독립된 조직과 시스템으로 자율적으로 운영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었다.

하지만 올해 1월 부터 코로나 사태가 붉어졌다. 이스타항공 뿐 아니라 국내 모든 항공사들이 굉장히 힘든 시기를 현재까지도 보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스타항공은 지난 2월 급여를 40%만 지급, 3월에는 전 노선 운항 중단에 급여 체불, 그리고 훈련 부기장 80명 계약 해지, 4월 1일 인력 45% 항공기 10대 반납 구조조정안을 발표 했다. 퇴직 희망자를 3일, 17일 받을 예정이며 24일 대상자를 확정하고 5월 31일자로 정리해고 할 예정이다.
정말 이렇게 상황이 빠르게 급변할지 누가 알았겠는가?
결국 이스타항공은 과거 영업부진과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한 항공사 첫 구조조정을 실시할 예정이다.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현재 시장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나아지겠지만 국내 항공사들이 버틸 체력이 있는지 의문이다. 체력이 점점 떨어진다면 이스타항공과 같은 슬픈 일이 국내에서 또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대상자는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될 수 있다. 기분이 나쁠 수 있지만 우리 모두가 대상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과거 항공역사를 봐도 동일한 일이 반복 됐다.
1. 어떤 특정 이벤트에 의해 시장이 안좋아 진다.
2. 기업들은 점차 어려워 진다.
3. 기업들은 자구안을 내 놓는다. (자구안은 인력 구조조정 / 노선 통폐합 / 항공사 간 M&A 다)
4. 다시 체력이 좋아진 회사들은 살아나고, 역사속으로 사라질 회사들은 사라진다.
5. 안정기가 찾아온다.
6. 또다시 이벤트가 찾아온다.
이러한 일은 과거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도 반복 될 것이다. 우리는 항상 특정한 이벤트에 대비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 그 힘은 본인이 시장에서 팔릴 수 있는 가치 일 것이다.
[관련 글 : 과거 미국 9.11 사태에 델타항공과 아메리칸항공은 어떻게 대응했나?]
2020/03/25 - [항공이야기] - 전 세계 항공사 5월에 파산 전망
전 세계 항공사 5월에 파산 전망
최근 코로나 사태가 전 세계로 확산되며, 항공사들에 위기감이 돌고 있다. 바로 항공사 파산이다. 실제 IATA는 정부가 항공사 구제에 나서야 한다면서 현금 직접 지원과 지급보증을 포함해 모두 1500억~2000억달러..
airtalks.tistory.com
일하는 것은 힘들고 고달프다. 가끔 짜증도 나고 어디론가 훅 떠나버리고 싶을 때도 있다. 하지만 일을 할 수 있는 일터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하루 빨리 이 항공업계가 다시 높게 날 수 있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
[불과 2년전 18년 겨울 이스타항공 max 도입 파티 영상]
[에어톡스 소개]
미션 : “Everyday news for you” 라는 슬로건으로 “가장 빠른 항공뉴스/ 가장 빠른 항공사 마케팅 / 가장 빠른 항공사 트렌드” 를 나눈다는 목표를 가지고 커뮤니티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현재 에어톡스에는 항공사임직원, 항공산업 관계자,관심있으신 분, 학생, 취업 준비생 등 다양한 분들이 있습니다.
https://www.facebook.com/Airtrends
보안 확인 필요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항공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 구조조정 우리는 연결되어있다. (2) | 2020.04.10 |
---|---|
항공사는 왜 구조조정을 할까 (0) | 2020.04.02 |
경영의 신 이나모리가즈오는 JAL을 어떻게 살렸을까? (0) | 2020.03.31 |
항공사 과거부터 현재 미래까지 바뀌지 않는 것 하나는? (0) | 2020.03.30 |
에어로케이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0) | 2020.03.30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항공사 구조조정 우리는 연결되어있다.
항공사 구조조정 우리는 연결되어있다.
2020.04.10 -
항공사는 왜 구조조정을 할까
항공사는 왜 구조조정을 할까
2020.04.02 -
경영의 신 이나모리가즈오는 JAL을 어떻게 살렸을까?
경영의 신 이나모리가즈오는 JAL을 어떻게 살렸을까?
2020.03.31 -
항공사 과거부터 현재 미래까지 바뀌지 않는 것 하나는?
항공사 과거부터 현재 미래까지 바뀌지 않는 것 하나는?
202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