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이야기
고객의 선택을 이끌어 내는 4가지 팁
고객의 선택을 이끌어 내는 4가지 팁
2021.09.04고객이 왕이라면 누가 누구에게 충성해야 할까? 왕이 신하에게 충성하는 게 맞을까 아니면 신하가 왕에게 충성하는 것이 당연할까?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s〉에 나온 대사를 빌리자면, ‘무릎을 꿇는’ 쪽은 언제나 충성을 바쳐야 하는 주체(브랜드)이다. 이렇게 다른 방향에서 보면, 마케터와 기업은 충성도에 대한 접근 방식을 재고해야 한다. 항공사들은 항상 고민이다 "날 선택해 주세요" 국내에는 총 11개의 항공사가 존재한다. 대한항공,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플라이강원,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 이스타항공 까지 11개의 항공사다. 그 중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FSC(Full service carrier)모델을 에어프레미아는 HSC(Hybrid s..
왜 에어아시아는 '슈퍼앱'에 집착할까?
왜 에어아시아는 '슈퍼앱'에 집착할까?
2021.08.2821년 7월 토니 페르난데스 회장은 "아시아지역에서 선도적인 슈퍼앱을 구현하고, 새로운 시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이어 나온 뉴스는 에어아시아의 디지털 사업부가 동남아 유니콘 기업인 고젝(Go jeck)의 태국 사업부문 인수를 확정짓는 발표였다. 에어아시아는 저비용 항공여행 부분에 특화된 사업역량을 토대로 원스톱 라이프스타일 슈퍼앱으로 옮기면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가속화를 붙이고 있다. 에어아시아는 말레이시아의 항공사였는데, 적자가 지속되는 와중에 2001년 토니페르난데스 회장이 부채를 떠안고 2링깃에 매입했다. 코로나 이전 2019년 기준 총 275대의 항공기 159개의 취항지를 운항했으며, 매주 11000편의 항공편을 운항했다. 직접 판매를 통해 고객 데이터 확보 에어아시아는 운영 ..
위드코로나 올해 여행 가능성이 높은 국가
위드코로나 올해 여행 가능성이 높은 국가
2021.08.25시원한 바닷바람, 리조트, 망고쥬스 '여행 가자~~~' 코로나 이전의 여행은 원하면 누구나 갈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가고 싶어도 갈 수가 없다. 과연 우리는 언제쯤 여행을 떠날 수 있을까? 다행스러운것은 각 국의 백신 접종률이 올라오면서 조금씩 국경 개방을 시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사이판 트래블 버블이 시행이 되었으나 결과는 참단한 수준이다. 사이판 트래블 버블 편당 3명? 한달동안 사이판 트래블 버블을 이용한 승객 수는 42명이다. 항공기 한편에 탑승한 승객 수가 아닌 한달 동안 트래블 버블을 이용해 사이판을 방문한 사람 숫자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아시아나항공,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등 총 14편이 운항했으니 편당 3명 정도가 이용한 셈이다. 이렇게 저조한 이유는 우선 트래블 버블 자체가 자..
아시아나보다 비싼 에어프레미아의 기내 인터넷 가격
아시아나보다 비싼 에어프레미아의 기내 인터넷 가격
2021.08.21신생항공사 에어프레미아가 국내선 노선에서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기내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와이파이 사용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wifi 사용 방법 1) 비행기 모드 설정 2) 와이파이 설정 -> 와이파이 이름 Air Premia 연결 3) 크롬 브라으저 접속 -> enjoy.airpremia.com 검색 4) enjoy.airpremia.com 에서 '기내 wifi "더 알아보기"' 클릭 5) 원하는 DATA Plan 선택 그리고 지금 연결하기 버튼 클릭 가격은 3500원~42000원 정도까지인데, 국제선 기준 주력 상품은 3시간 정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3시간은 USD 26.95 약 31500원으로 아시아나항공 A350 3시간 USD 16.95 보다 10달러 비싸게 책정되어 있다..
에어프레미아, 김포-제주 국내선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 개시
에어프레미아, 김포-제주 국내선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 개시
2021.08.20에어프레미아가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에어프레미아는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련 당국의 허가 절차를 거쳐 14일부터 서비스를 개시했습니다. 에어프레미아는 파나소닉 에비오닉스사의 글로벌 위성 통신망을 통해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며, 항공기 이륙 후 약 1만피트 고도에 도달하면 기내에서 와이파이 표시등이 뜨고, 승객들은 이때부터 기내에서 와이파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에어프레미아의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는 용량이나 사용 시간대 별로 총 4가지 유료 상품으로 구성됐으며, 각자 상황에 맞게 선택해 사용 가능합니다. 본래 에어프레미아는 국제선에만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지만, 국내선에서도 소비자 체험 기회 확대 차원에서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을 결정했..
국내 항공사 2분기 20년 21년 실적비교
국내 항공사 2분기 20년 21년 실적비교
2021.08.182020년 2분기(4월~6월)와 21년 2분기 실적을 비교했습니다. FSC는 2분기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대한항공은 1499억에서 1969억으로 전년 대비 상승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1151억에서 949억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습니다. 제주항공은 -854억에서 -712억으로 적자폭은 감소했으나 LCC 최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티웨이항공 -486억에서 -347억으로 진에어는 -596억에서 -486억, 에어부산은 -514억에서 -494억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 상반기 실적은 대한항공 2951억 흑자, 아시아나항공 -314억, 제주항공 -1585억, 티웨이항공 -802억, 진에어-1089억, 에어부산 -966억을 기록했습니다. 항공사들이 비용절감과 매출확대에 노력하고 있으나 화물이 없는 LCC들은 국제선..
LCC 앞으로 이 항공사 처럼 진화 할것
LCC 앞으로 이 항공사 처럼 진화 할것
2021.08.14특이점이 온다. 2021년 신생항공사인 에어프레미아는 FSC와 LCC의 경계를 허무는 역할을 했다. 바로 항공기(하드웨어)로서 말이다. 에어프레미아는 HSC(하이브리드 서비스 캐리어)를 표방하며 보잉의 차세대 중장거리 항공기인 B787드림라이너를 도입했다. 8월 11일 김포-제주 노선을 취항했으며, 이후 동남아, 미주 등 중장거리 노선 계획을 발표했다. 몇일 되지 않았지만 타본 사람들의 후기를 보면 기존의 LCC 대비 컨디션이 좋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많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합병, 신규 플레이어의 등장 등 기존 LCC들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기존 LCC들의 좌석이나 기내 경험은 어떻길래? 1) LCC 운영 항공기는 중단거리 전용 B737-800 / A320 기종 주를 이..
에어프레미아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에어프레미아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2021.08.09에어프레미아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에어프레미아의 성공 요인과 리스크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성공 가능 요인 1 첫째로 항공기 자체의 하드웨어가 기존 LCC 플레이어들 보다 월등히 좋다. 에어프레미아는 HSC라는 비즈니스모델을 표방한다고 밝힌 항공사다 HSC는 Hybrid service carrier를 말하는데, 기존 항공사의 비즈니스 모델인 FSC(Full service carrier), LCC(Low cost carrier)의 두개의 약점을 보완해 새로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겠다는 취지의 하이브리드 항공사다. FSC의 약점은 무엇일까? 좋은데 비싸다? LCC의 약점은 무엇일까? 저렴한데 불편하다? 한마디로 "합리적인 가격, 편안한 좌석"을 제공하겠다. 라는 말이다. 일단 새비행기 그리고 좌석 넓고..
새로운 게임체인저 B737 Max 가 온다.
새로운 게임체인저 B737 Max 가 온다.
2021.08.07지난주 드디어 중국에서 B737 Max 항공기의 테스트가 실시 되었습니다. 이 테스트는 중국내 허가 절차의 일환으로 맥스 항공기의 재운항의 긍정적인 신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운항이 중단 되었었나? 2018년 10월 인도네시아 라이온에어의 B737 max 8기종의 추락과, 애티오티파 항공의 동일 기종이 추락한 뒤 운항을 중단했고, 중단이후 시스템 보완을 통해 각 국의 테스트 통과 이후 미국을 시작으로 유럽, 일본 등 각 국이 운항 재개를 허가하고 실제 운항도 시작했습니다. 운항 재개를 허가 한다는 것은 해당 항공기를 항공사들이 운항할 수 있고, 운항 허가 국가의 영공에서의 비행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국지역과 붙어 있기에 해당 중국지역의 재운항 허가가 나지 않는다면 중국 영공..
국토부, 기내서 마스크 착용 거부 땐 경찰에 인계한다
국토부, 기내서 마스크 착용 거부 땐 경찰에 인계한다
2021.08.05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항공기 내에서 승객과 승무원의 코로나19 감염예방 및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항공업계에 적용하고 있는 “코로나19 대응 항공기 안전운항지침*(‘20.10월 제정·시행, 이하 ”안전운항지침“라 한다)”을 강화하여 오는 9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www.molit.go.kr)의 “공지사항”–키워드 “코로나19 항공기” 검색 ** 항공기 소독, 승무원 행동수칙, 탑승 전/비행 중 승객안내 및 관리절차 등(참고 1. 참조) 안전운항지침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안전권고 및 질병관리청의 방역지침 등을 토대로 항공기 내 감염예방을 위해 필요한 방역기준과 절차 등을 정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는 항공사와 공항 운영자 등으로 하여금 해당 지침을 준수..
인천-몽골 "내년 성수기부터 항공편 주 9회 추가운항" 제 3항공사 운항 가능성 높아
인천-몽골 "내년 성수기부터 항공편 주 9회 추가운항" 제 3항공사 운항 가능성 높아
2021.08.05인천 - 울란바타르 하늘길 넓어진다. - 8.2~3일 한-몽골 항공회담 개최…'22년도부터성수기 주9회 추가운항으로 주5,000석까지 확대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8.2~3일 인천에서 한-몽골 간 항공회담을 개최하여 인천-울란바타르 노선에 대해 여객 직항 항공편 공급력 증대를 합의하는 MOU(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그간 몽골은 우리 국민들이 많이 찾은 여행지 중 하나로, 인천-울란바타르 노선은 한 해 양국 간 항공 여객수가 40여만명(’19년 기준)*에 달하였고, 최근 연평균 6.8%(’15~’1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는 노선이었다. *수송실적(탑승률) : ’15년 30.0만여명(81.9%) → ’16년 30.7만여명(82.9%) → ’17년 33.9만여명(87.6%) → ’18..
국내 항공사들 항공기 운영수와 항공기별 좌석수
국내 항공사들 항공기 운영수와 항공기별 좌석수
2021.08.04국내 항공사들의 항공기 종류와 각 항공기별 좌석수는 어떻게 될까? 출처는 국토교통부의 항공기 안전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2021년 8월 4일 기준이다. 코로나 발발 이후 국내 항공산업 지형이 굉장히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 중 가장 큰 변화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인데,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함으로서 대한항공 계열 항공사들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까지 총 5개의 항공사가 된다. 그야말로 공급에 있어서 독과점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대한항공 계열 항공사들의 항공기수를 합치게 되면 총 303대로 독립형 항공사인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의 항공사들의 항공기 수 73대의 4배 이상의 항공기 수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 숫자는 화물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