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이스타항공 구조조정을 보며 느낀 점
이스타항공 구조조정을 보며 느낀 점
2020.04.01항공사명 : 이스타항공 (Eastar Jet) IATA 코드 : ZE IACO 코드 : ESR 창립년도 : 2007년 / 운항 개시 : 2009년 1월 / 제주항공에 인수 예정 : 2020년 4월 말 예정 국민항공사 이스타항공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 최고를 향해 항공여행 대중화를 창조하겠습니다.이스타항공은 2009년부터 취항을 시작해 국내선 뿐 아니라 일본, 홍콩, 마카오, 방콕, 중국 등 다양한 국제선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기준 항공기는 23대, 임직원 수는 1680명이다. 과거 이스타항공은 1만원 항공권을 판매하며 특가 이벤트로 사랑을 받기도 했고,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 장미란 선수를 후원하기도 했다. 다만 금일 보도자료에 이번 코로나-19사태 등 시장상황의 악화로 항공기 10대 반납, ..
[마인드]채용이 없다. 이 시기 꼭 해야 할 일
[마인드]채용이 없다. 이 시기 꼭 해야 할 일
2020.04.01기업은 사람과 같이 아이, 청소년, 어른, 노인의 성장 사이클을 가지고 커 나간다. 성장하는 과정에서 감기에도 걸리고 결혼도 하고 그러다 병에 걸리기도 한다. 어느 사람은 그러다 죽기도 하고, 어느 사람은 다시 건강을 되찾고 다시 멋지게 살아 나가기도 한다. 기업도 똑 같다. 건강한 기업은 감기에 걸려도 빨리 낫고, 건강하지 못한 기업은 감기에 걸리면 치명적이다. 최근 상황은 살아가는 과정에서 겪는 하나의 이벤트일 뿐이다. 이 이벤트에 한탄만 해봤자 본인에게는 1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 가지 위로의 말을 드리자면, 이 상황이 당신 혼자 만의 상황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 시국에 취업준비를 하고 있다면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이 현명할까? 생각을 바꿔보자, 이 시기를 조금 더 현명하게 ..
로버트 차일디니 교수 설득의 기술 6가지
로버트 차일디니 교수 설득의 기술 6가지
2020.03.31사회생활은 서로 대화와 설득 그리고 거절의 연속이다.많은 사람은 사회생활은 정글이라고 이야기 한다. 이 정글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내가 남을 조금이라도 더 잘 설득한다면 나는 YES 라는 답을 받아낼 것이고,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더욱 수월해 질 수 있다.최근 심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여러 책들 중 '설득의 심리학'을 지은 로버트 차일디니 교수의 책을 읽고 있다. '초전설득'과 '웃는 얼굴로 구워삶는 기술'이다. 설득의 심리학은 내가 대학시절 베스트 셀러에 올랐던 책이다. 그때 왜 이 책을 읽지 않았을까? 정말 후회된다.지금이라도 '로버트 차일디니'교수 책을 읽으며 내 생활에 적용해 볼 수 있어 너무나 감사하다.전 세계적인 베스트 셀러 설득의 심리학을 지은 로버트 차일디니(Robe..
웨이터의 법칙 '이런사람 꼭 피해라' - 직장인편
웨이터의 법칙 '이런사람 꼭 피해라' - 직장인편
2020.03.31일을 할 때, 주변인의 인성을 볼 때 우리는 많은 착각을 한다. 나도 일을 하며 많은 동료들을 만나는데, 그 동료의 평판은 아래사람, 동기, 그리고 상사에 대한 평판이 전혀 다른 경우가 있다. 비즈니스 서적에는 "웨이터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는데 반드시 이런 사람은 피하라는 것이다. 웨이터의 법칙은 실제 비즈니스를 할 때, 갑자기 벌어지는 상황에서 그 사람의 본심이 나온 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레스토랑에서 동료들끼리 식사를 할때, 웨이터에게 무례하게 행동하는 사람을 볼 수 있다. A라는 사람은 웨이터가 갑자기 물을 흘렸을 때, 괜찮다고 넘어가지만 B라는 사람은 웨이터가 물을 갑자기 흘렸을 때, 얼굴을 붉히며 불쾌한 감정을 표출한다. 이런 간단한 실험은 그 사람의 인정을 볼 수 있는 실험이다. 이런 사람들..
직장인이라면 돈버는 방법은 이것밖에 없다.
직장인이라면 돈버는 방법은 이것밖에 없다.
2020.03.31직장인이 돈을 버는 방법은 3가지 종류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첫째 근로 소득이다. 회사에서 일한 만큼 돈을 받는다. 둘째 투자 소득이다. 회사에서 번 돈을 통해 재 투자를 하고 이익을 불리는 방법이다. 셋째, 많은 사람이 원하는 패시브 인컴 수동적 소득이다. 부동산이 될 수도 있고, 본인이 능력이 있다면 책을 써서 인세를 받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렸을 때 부터 열심히 공부 -> 좋은 학교 -> 좋은 직장 이라는 성공 방정식에 대해서만 많이 이야기했다. 이는 결국 근로 소득을 높이라는 이야기다. 물론 일에 대한 자신의 신념, 만족감은 별개 문제다. 우리는 근로소득을 높이기 위해 토익을 공부하고, 스펙을 쌓고 좋은 회사에 들어가기 위해 경쟁했다. 열심히 해서 좋은 회사에 들어갔다고 가..
면접자기소개 잘 시작하는 2가지 팁
면접자기소개 잘 시작하는 2가지 팁
2020.03.31다시 한번 말하지만, 여러분들에게 면접관들은 여러분 만큼 관심이 많지 않다. 그럼에도 우리는 관심없는 사람에게 '나'라는 상품을 팔아야 한다. 면접에서 자기소개를 하는 것은 처음으로 '나'라는 상품을 상대에게 알리는 중요한 시작이다. 상품을 팔기 위한 첫 단추는 관심없는 사람에게 '흥미'를 유발을 하는 것이다. '흥미'를 유발하는 팁 2개를 소개하겠다. 1. 먼저 질문하라 : 질문은 상대에게 나의 첫 인식을 긍정 혹은 부정으로 인식시켜 줄 수 있는 매력적인 도구다. 실제 하버드 대학 연구 결과를 보면 아래와 같은 발표가 있다. 첫째, 질문을 많이 하게 되면, 질문을 받은 사람은 질문을 한 사람에 대한 호감도가 늘어나게 된다. 둘째, 질문에 대한 호감도는 후속 질문에서 더욱 증가한다. 셋째, 질문을 많이 ..
경영의 신 이나모리가즈오는 JAL을 어떻게 살렸을까?
경영의 신 이나모리가즈오는 JAL을 어떻게 살렸을까?
2020.03.31교세라 그룹의 회장 이나모리 가즈오는 경영의 신으로 불리운다. 27세인 1959년 교세라 그룹을 창업해 세계 100대 기업으로 키웠고, 1984년엔 통신기업 다이니덴덴(현 KDDI)을 설립했다. 2010년 파산한 일본항공(JAL)에 ‘구원투수’로 투입돼 1년 만에 흑자로 돌려놨다. 저서로는 '아메바경영' '왜 일하는가' 등등 수많은 경영서적이 있다. 그런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이 2010년 일본의 국적항공사 JAL이 파산했을 때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JAL은 우리나라로 치면 대한항공 같은 국적사이다. 당시 이나모리 가즈오는 법정관리였던 JAL을 '무보수'로 맡아 취임 1년만에 1884억엔(약 1조 9000억원) 영업흑자를 냈다. JAL은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이 취임하고 나서 2년 7개월 만에 도쿄 증시에 ..
항공사 과거부터 현재 미래까지 바뀌지 않는 것 하나는?
항공사 과거부터 현재 미래까지 바뀌지 않는 것 하나는?
2020.03.301919년 설립된 KLM과 현재 존재하고 있는 항공사들과의 변하지 않은 것 한가지는 무엇일까? 바로 고객에게 이동이라는 가치를 제공하는 비지니스 모델이다. 위의 뉴스에 보도된 이미지를 보면, 1950년대 광고 이미지와 최근 대한항공의 이미지는 별반 다르지 않다. 심플하게 생각하면, 과거부터 현재까지 항공산업은 고객을 A지점에서 B지점까지 이동해 주고 돈을 받는다. 이 비지니스 모델은 과거에도 그럴것이고 현재도 그렇고 미래에도 그럴 것이다. 그만큼 비즈니스 모델이 심플하다는 것이다. 비즈니스 모델이 심플하다는 것은 진입 장벽이 낮아 많은 경쟁자들이 진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 많은 경쟁자들은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산업 자체의 발전을 더디게 만들 수 있다. 그럼 항공사들은 어떻게 살아 남을 수 있을까..
에어로케이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에어로케이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2020.03.30에어로케이는 과거 한화에서 투자를 했다가, 면허 심사에 실패하자 한화는 투자금을 회수하고, 현재 AIK 이민주 회장이 추가 자금을 투입해 1대 주주가 되었다. 당시 투자한 에이티넘파트너스는 “에어로케이가 거점으로 두는 청주항공은 반경 100km 이내에 1300만인구가 분포해 충분한 국내 및 국제 여객 수요가 있다”면서 “에어로케이는 원가를 크게 줄이면서 안정적인 운항이 가능한 회사다. 글로벌 LCC 기준에 부합하는 원가와 영업이익률을 고려해 에어로케이가 소비자들에게 뛰어난 조건으로 여객을 제공할 수 있는 회사라고 판단했다”고 투자 배경을 설명했다. 현재 에어로케이는 운항증명을 취득하기 위한 과정에 있다. 에어로케이의 비즈니스 모델은 ULCC(Ultra low cost carrier)다. 초 저비용항공사를..
항공사 직무소개 - 일반직 편
항공사 직무소개 - 일반직 편
2020.03.29취업준비를 할 때, 가장 애매한 부분이 해당 직무에 대한 부분이다. 솔직히 많은 사람이 대학을 졸업하고 바로 취업을 준비하기에 직장 경험을 할 수 없다. 그리고 우리가 지원하는 부서 이름은 내가 그동안 tv나 드라마에서 봐왔던 그런 이름일 뿐, 실제 어떤 일을 하는지 알 수 없다. 그래서 오늘 부터는 항공사의 직무 소개를 해보려 한다. 흔히들 말하는데 항공사 일반직 = 지상직(?) 이라고 이야기한다. 뭐 지상에서 일하니 틀린만도 아니지만 흔히 항공사 취업준비생들이 이야기하는 지상직은 공항에서 일하는 직원을 말한다. 그럼 지상직과 일반직이 어떻게 다른지 한번 살펴보자. 일반직은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부서를 말한다. 항공사도 일반 회사와 동일하게 여러 부서가 필요하다. 영업, 마케팅, 재무, 회계, 법무, 홍..
진에어(Jin Air) 회사소개 및 기업분석
진에어(Jin Air) 회사소개 및 기업분석
2020.03.29항공사명 : 진에어 (JIN Air) IATA 코드 : LJ ICAO 코드 : JNA 창립년도 : 2008년 1월 대한항공의 자회사 LCC 이다. 슬로건 : Fly Better fly 운영항공기 : 국내 LCC로서는 유일하게 2대의 기종을 운항하며 중단거리, 중장거리 까지 취항하고 있다. 중장거리 노선에는 무료 기내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존의 LCC와 동일하게 유상 판매 상품도 판매중이다. 중장거리 항공기 B777-200 항공기 393석 운영중(JINI PLUS SEAT, JINI SEAT 운영중) 중단거리 항공기 B737-800 : 189석 단일 좌석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이 운영하는 항공기 취항지 : 일본, 중국, 동남아 외 미국 하와이, 호주 케언스 취항중 진에어 로고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코로나 사태 중 항공사들의 2가지 마케팅 방법
코로나 사태 중 항공사들의 2가지 마케팅 방법
2020.03.26항공사들은 최근 두가지 종류의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중이다. 하나는 세일즈성 캠페인이고 또다른 하나는 브랜드를 홍보하는 캠페인이다. 세일즈 캠페인은 즉각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는 캠페인이고 효과 측정이 비교적 쉽다. 해당 기간에 판매된 수치의 결과가 명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번째 브랜드를 홍보하는 캠페인은 효과 측정이 다소 어렵다. 하지만 잘 만들어진 브랜드는 고객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이는 마법을 부린다. 각 마케팅 캠페인을 항공사가 어떻게 진행하는지 알아보자. 1. 세일즈 캠페인 : BNTL Buy Now and Travel Later 실제 항공사는 현금흐름이 좋은 비즈니스다. 미래의 좌석을 현재에 판매한다. 하지만 이런 현금흐름이 좋은 비즈니스는 급작스럽게 닥친 코로나 사태에서는 치명적이다. 현금은..